뉴스 바로가기

기사 상세

사회

"섬유 명가 명성 되찾자"… 팔걷은 대구

우성덕 기자
입력 : 
2024-11-24 17:37:36

뉴스 요약쏙

AI 요약은 본문의 핵심만 제공하므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사 본문 전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한국전쟁 이후 국내 경제를 이끌었던 대구가 재도약을 위해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 6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 전략에는 섬유패션테크산업 육성, 대구 SPA 브랜드 개발, 그린 및 첨단 소재 전환, 인재 양성·연구개발 기반 구축, 유통 비즈니스 거점화, 해외시장 진출 인증지원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전략을 통해 대구는 섬유산업을 발전시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섬유패션테크산업은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등 대구시의 미래 5대 신사업과 연계한 소재 개발을 제안했으며, 대구 SPA 브랜드 개발은 산학연 컨소시엄 구성 또는 공모를 통해 Made in Daegu 제품을 만들자는 계획이다. 또한, 국내외 시장 확대를 위해 대구산 원단인증제도 도입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2030년까지 연간 매출액 500억 원 규모의 섬유패션 기업 50개 육성 시 전국적으로 5조 원의 생산 유발 효과와 3만 명의 취업 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과거 한국의 대표적인 섬유산업 도시였던 대구가 이번 전략을 통해 옛 영광을 되찾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언어변경

글자크기 설정

섬유르네상스 6대 전략 제시
반도체 등 미래 신산업과 연계
로봇용 안전섬유 등 소재 개발
'대구판 자라' SPA제품 만들고
세일즈 페스타 열어 판매 촉진
대구 섬유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대구염색산업단지 전경.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대구 섬유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대구염색산업단지 전경.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한국전쟁 이후 섬유산업을 기반으로 국내 경제를 이끌었던 대구가 다시 '섬유명가'로 도약하기 위해 나섰다. 중국산 저가 공세에 밀리고, 산업 구조 개편에도 실패해 쇠퇴했던 과거 경험을 반면교사 삼아 미래 섬유산업 전략을 세워 섬유패션산업의 부활을 이끌어낸다는 복안이다.

24일 대구시에 따르면 대구정책연구원은 '대구 섬유패션산업 르네상스 6대 전략'을 발표하고 '섬유패션 테크노밸리 조성' 방안을 내놨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지난 1일 섬유업계 한 행사에 참석해 "우리는 섬유산업을 포기할 순 없다"며 "K팝, K푸드가 글로벌로 확산한 이때에 K패션도 대구가 주도할 기회가 찾아오고 있다"고 지원 의지를 밝힌 바 있다.

이번 6대 전략은 섬유패션테크산업 육성과 대구 SPA(제조·유통 일원화) 브랜드 개발, 그린 및 첨단 소재 전환, 인재 양성·연구개발 기반 구축, 유통 비즈니스 거점화, 해외시장 진출 인증지원 등을 담고 있다.

먼저 섬유패션테크산업은 ABB(인공지능·블록체인·빅데이터)·반도체·로봇·UAM(도심교통항공)·헬스케어 등 대구시가 육성 중인 미래 5대 신산업과 연계한 소재 개발을 제안했다. 예를 들면 5대 신산업에 사용될 초경량 소재와 로봇용 안전섬유, 반도체 섬유, 의료용 섬유 등이다.

대구 SPA 브랜드 개발은 산학연 컨소시엄 구성이나 기업, 디자이너 등을 대상으로 공모를 통해 메이드 인 대구(Made in Daegu) 제품을 만들자는 것이다. 일본의 유니클로, 스페인의 자라 같은 글로벌 SPA 브랜드를 대구에서 개발해 보자는 취지다.



사진설명
유통 비즈니스 거점화를 위해서는 대구국제섬유박람회를 생산자와 소비자가 함께 참여하는 박람회로 개편하고 대구 쇼핑페스타를 추진하는 방안도 제시했다. 예를 들면 내년 2월 4만여 명이 참가하는 대구국제마라톤대회와 연계해 대구 지역 아웃도어 세일즈 페스타를 여는 방안 등이다.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해서도 원단 품질 인증이나 친환경 인증 등 '대구산 원단인증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를 통해 대구정책연구원은 2030년까지 연간 매출액 500억원 규모의 섬유패션 기업이 50개 육성될 경우 전국의 생산 유발 효과는 5조원, 취업 유발 효과는 3만명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대구의 섬유패션 사업체 수는 5376곳으로 전체 제조업의 17%를 차지하고 있다. 국내 섬유패션산업 중 지역별 비중을 보면 대구는 2022년 기준 10.3%로 서울(36.4%), 경기(22.8%)에 이어 3위고, 비수도권에서는 1위다. 하지만 1970년대 대구는 섬유·의류 도매업 판매액 비중이 전국에서 33%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인 1위였다. 제일모직 등 국내 굴지의 섬유 기업들 본거지가 바로 대구였다. 이번에 발표된 전략은 과거의 영광을 되살리기 위한 포석이다.

[대구 우성덕 기자]

이 기사가 마음에 들었다면, 좋아요를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