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값 보다 상승세 빨라
7월 전세보증사고 다시 늘어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 상승세가 1년째 이어지고 있다.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매수하는 수요)가 늘면서 거래량도 끌어올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KB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대비 전세가 비율은 53.9%로, 표본 개편이 있었던 2022년 11월(53.9%) 이후 1년 8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은 금리 인상 이후 전셋값이 급락하고 역전세난이 심화하면서 지난해 4월 50.8%까지 하락한 바 있다.
그러나 이후 전셋값 상승과 함께 매맷값도 함께 오르며 지난해 7월(50.9%)부터 지난달까지 1년째 오르고 있다. 최근 전세가율이 오르는 것은 매매가격 상승 폭보다 전셋값 상승 폭이 더 큰 때문이다.
한국부동산원의 최근 서울 아파트 전세 실거래 가격지수도 129.6(올해 5월)을 기록해 과거 가장 높았던 127.9(2022년 9월)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KB국민은행 시세에 따르면 올해 들어 7월까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누적 0.02% 오르는 동안 전셋값은 3.79% 상승했다.
자치구별로는 강북구 전세가율이 62.0%로 가장 높았고, 중랑구(61.6%), 금천구(61.4%), 성북구(61.0%), 관악구(60.4%), 은평구(60.2%) 등이 뒤를 이었다. 고가 아파트가 많은 강남 3구의 전세가율이 50%를 밑도는 것과 비교된다.
같은 기간 한국부동산원 조사에서도 서울 아파트값이 1.75% 상승했지만, 전셋값은 3.10% 뛰었다.
일각에서는 서울 아파트 전세가율이 상승하면서 갭투자 수요가 늘 것이라는 우려도 있다. 다만 부동산 빅데이터 업체 아실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갭투자 비중은 2019년 6월 당시 최고 27%에 달했지만, 지난해와 올해 초는 10% 전후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편 집주인이 전세보증금을 제때 돌려주지 않는 전세 보증사고는 올해 7월까지 3조원 규모로 발생했다. 이날 주택도시보증공사(HUG)에 따르면 올해 1~7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사고액은 3조818억원, 사고 건수는 1만4250건이다. 월별로는 2월 6489억원으로 정점을 기록하고 4개월 연속 감소했으나, 6월 3366억원에서 7월 4227억원으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